투자 원칙 3

체계적인 투자 방식_아베 슈헤이

투자를 위한 연구는 정원 관리, 명상, 자녀 양육처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투자는 산발적이고 일시적인 활동에는 보상하지 않으므로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원사나 명상가 또는 부모님이라면 누구나 말하는 것처럼 일상적인 훈련이 핵심이다.- 돈은 빅테크로 흐른다. 애덤 시셀 저. 고영태 역. 액티브 액티브 투자를 결심했다면 공부, 다소 거창하게 말하자면 투자에 대한 연구가 필수다. 이 과정이 부담스럽다면 패시브 투자를 하면 된다. 액티브 투자를 한다고 해서 성과가 더 좋은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직접 기업을 선택하고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면, 체계적인 방식을 갖추어서 반복과 지속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원칙과 전략이 체계적이어야 개선 역시 가능하다. 투자를 사업으..

독서 일기 2025.04.20

통계는 트레이더가 손실을 보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모든 트레이더 중 95%가 실패한다는 말은 인터넷에서 가장 흔히 언급되는 트레이딩 관련 통계 중 하나지만, 이를 입증하는 연구 논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 연구는 오히려 이 수치가 훨씬 더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학자들이 실제 중개인 데이터와 트레이더의 성과를 분석하여 발견한 24가지 놀라운 통계를 제시하는데, 그 결과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돈을 잃는 이유를 잘 설명해 준다. 1. 모든 데이 트레이더의 80%는 첫 2년 안에 트레이딩을 그만뒀다.2. 데이 트레이더 중 거의 40%는 단 1개월 만에 거래를 중단했고, 3년 후에도 거래를 계속하는 비율은 13%에 불과했으며, 5년 후에는 단 7%만이 남았다.3. 트레이더는 손실 거래보다 수익을 낸 거래를 50% 더 자주 매도했다. 매도의 ..

트레이딩 원칙 2025.02.24

매매 일지는 자기 객관화의 과정_주식으로 돈 못 벌면 바보다

트레이딩을 하는 데 있어 꼭 해야 할 일은 매매 일지 작성이다. '주식으로 돈 못 벌면 바보다(장준환 저. 한국경제신문)'의 저자는 매매일지 또는 투자 일지는 자기 객관화의 과정이라고 하며, 자신이 시장에서 어떻게 매매를 했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를 살펴보면 앞으로의 답이 들어 있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투자 선수들은 자신의 머리와 기억을 믿지 않고, 투자 일지의 기록과 수치를 믿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의 기록에 의존하는 '자기 객관화'는 '네 자신을 알라'와도 일맥상통한다. 시장에서 같은 실수를 계속 반복하는 것은 그곳에 함정이 있다는 걸 다 알고 있는데도 계속 똑같은 함정에 빠진다는 의미이며, 이는 과거를 기억하지 못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그런 실수의 무한 반복을..

트레이딩 원칙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