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 5

추세 추종 전략에서 MACD의 활용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이동 평균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기 있는 모멘텀 및 추세 추종 지표로, 추가적인 모멘텀 도구 및 필터로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다. 이 글에서는 MACD 지표가 무엇을 하는지, 가격 분석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이를 직접 거래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 MACD 지표의 구성 요소MACD LineMACD 지표의 핵심 요소로, MACD line은 12 기간 EMA(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 이동평균)와 26 기간 EMA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이동 평균 교차 시스템의 원리와 동일하다. Signal LineMACD line의 9 기간 EMA으로, 기본적으로 이동 평균을 한 번 더 ..

기술적 분석 2025.02.18

MACD 활용 시 주의할 점

1. 과매매 신호를 맹신하지 말 것MACD가 양(+)이면 상승 추세, 음(-)이면 하락 추세로 해석할 수 있지만, 이 신호만으로 매수, 매도를 결정하면 위험할 수 있다. 특히 횡보장에서 신호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짓 신호에 주의해야 한다. 2. Divergence를 맹신하지 말 것Divergence(가격과 MACD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는 추세 반전 신호로 해석되지만, 반전이 즉각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확인 지표(거래량, RSI)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3. MACD signal cross에 대한 과도한 의존 금지MACD선(빠른 선)과 signal선(느린 선)의 골든크로스(위로 교차)나 데드크로스(아래로 교차)는 매매 신호로 많이 사용되지만, 시장..

기술적 분석 2025.02.13

MACD를 활용한 진입과 청산_실전 추세 매매법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를 이용하는 트레이딩1. 시험 매수MACD histogram이 bottom out 한 후에 상승세로 바뀌는 것은 극장의 차임벨에 불과하다(본격적인 상승 추세를 알리기보다는 그 예고편 정도 된다는 뜻). 그러므로 Histogram만 가지고는 신뢰성 높은 매매 판단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매수 진입을 하려거든 시험 매매 수준에서 시도하는 것이 좋으며, 속임수에 넘어가도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만 매수한다. 2. 본 매수와 추가 매수본격적인 매수 주문은 MACD와 MACD signal이 크로스할 때이며, 추가로 주문하는 타이밍(pyramiding)은 두 개의 EMA(12일, 26일)이 크로스할 때다. MACD를 몰랐다면 ..

기술적 분석 2025.02.13

MACD의 계산 방법과 해석_차트의 기술

MACD의 계산 방법MACD는 단기 지수이동평균값(Exponential Moving Average)에서 장기 지수이동평균값을 뺀 차이로 두 이동평균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MACD선은 보다 단기적인 의미로, MACD 시그널선(signal line)은 보다 장기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MACD: 단기 지수이동평균(예, 12일) - 장기 지수이동평균(예, 26일)MACD signal: MACD의 n일 지수이동평균(예, 9일)MACD oscillator = MACD - 시그널선 EMA = (EMAy x (n - 1) + P x 2 ) / (n + 1)MACD histogram = MACD - MACD signalcf.EMAy: 어제의 EMAP: 오늘의 주가     MACD의 해석MACD를 해석할 때는 다..

기술적 분석 2025.02.12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_차트의 기술

MACD란?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로 불리는 MACD는 장단기 이동평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매매신호를 포착하려는 기업으로 뉴욕의 기술적 분석가인 Gerald Appel에 의해 개발되었다. 기술적 분석의 지표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보조지표의 원리는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게 되는 가장 큰 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장단기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신호로 보는 이동평균기법의 단점인 시차(Time lag)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주가의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중장기적인 방향성 결정..

기술적 분석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