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개념

보수적인 투자자가 확인해야 할 기업의 구조적인 요소

LemonTrea 2025. 4. 13. 18:11

1. 투자 대상 기업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 원가가 경쟁업체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아야 하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손익분기점이 상대적으로 낮다면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의 시장 환경이 침체에 빠졌을 때에도 생존해 나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체가 시장에서 철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제품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데도 더 유리한 지위를 차지할 수 있다.

- 영업이익률이 시장 평균보다 높은 기업은 계속해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내부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발행 주식을 늘려 주식 가치를 희석시키거나 과다한 차입금을 끌어들여 회사를 위험에 빠뜨리는 일을 피할 수 있다.

 

"The great defense against the air of optimism is low cost."
- 찰리 멍거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2. 기업은 강력하고도 충분할 정도로 고객 중심의 입장에서 고객의 수요와 기호 변화를 읽고, 그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행동을 즉시 취해야 한다. 이와 같은 능력을 바탕으로 유행에 뒤떨어졌거나 한물가버린 생산라인을 단순히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새로운 제품들을 내놓아야 한다.

 

"Take a simple ida and take it seriously."
- 찰리 멍거

 

 

3. 효율적인 마케팅이란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광고나 영업 활동을 통해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 마케팅 활동의 비용 대 효율성은 늘 자세히 분석하고 끊임없이 점검해야 한다.

 

"Your premium brand had better be delivering something special, or it's not going to get the business."
- 워런 버핏

 

4. 기술 기업이 아니라 할지라도 어느 기업이나 미래 지향적인 뛰어난 연구개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 보다 새롭고 더 나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보다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 연구개발 작업이 얼마나 효율적인가는 기업마다 큰 차이가 있다. 생산적인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두 가지 중요한 요소는 첫째, 시장과 수익성을 의식하는 것이며 둘째, 필요한 인재를 한데 모아 생산적인 팀으로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드는 능력이다.

 

"Show me the incentive and I will show you the outcome."
- 찰리 멍거

 

6. 강력한 재무 조직을 가진 회사는 여러 면에서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 원가에 대한 정확한 정확한 정보: 경영진으로 하여금 회사의 에너지를 수익성 기여도가 더 높은 제품에 집중할 수 있게 해 준다.

- 제대로 된 원가 분석 시스템: 어느 사업 부분에서 생산 비용과 마케팅 비용, 연구개발 비용이 비효율적으로 쓰이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집어낼 수 있다.

- 고정자본과 운전자본을 얼마나 써야 할 것인 정확히 통제함으로써 자본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n ounce of prevention is worth a ton of cure"
- 찰리 멍거

 

 

7. 기업 재무 조직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장래의 순이익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충분할 정도로 미리 파악해 부정적인 충격을 최소화하는 예방 조치들을 미리 세워둘 수 있도록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Risk comes from not knowing what you're doing."
- 워런 버핏

 

Reference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 필립 피셔 저. 박정태 역. 굿모닝 북스

 

2025.04.13 - [June] - 순운전자본이란?

 

순운전자본이란?

순운전자본(NWC, Net working capital)순운전자본은 회사의 영업활동 속에서 현금이 얼마나 묶이거나 풀리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그 변화는 오직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에만 영향을 준다.

lemontrea.tistory.com

 

2025.04.10 - [June] - 자산(Assets)의 정의와 분류

 

자산(Assets)의 정의와 분류

자산(Assets)기업이 자산을 보유하는 하는 이유는 그 자산을 사용해서 돈을 벌거나 자산을 팔아서 돈을 벌기 위함이다. 즉 자산에는 사용가치나 매각가치가 있어야 한다.- 그런 목적이나 가치 없

lemontre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