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자료 보관

트레이딩 승률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_시장의 마법사들

LemonTrea 2025. 2. 6. 00:22

추세추종 트레이딩의 승률은 대체로 높지 않은 편이다. 예비 신호가 나오면 진입을 준비해야 하는데 진짜 추세보다는 가짜 추세인 경우가 많고 이는 승률 저하로 이어진다. 그럼에도 트레이더는 예비 신고가 오면 추세라고 판단하고 진입을 시도해야 한다. 추세를 놓치지 않는 것이 그 목적이다. 추세추종 트레이더들은 손실은 늘 있는 일이라고 받아들이지만, 추세를 놓치는 것은 죄악시한다. 
 
이전에 비해 현대 지상은 변동성이 더 크다는 의견이 있다. 큰 변동성에 기대어 수익을 올릴 수도 있지만 되돌림(pullback)으로 인해 초기에 추세가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손실이 반복되면 베팅 금액은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이후 추세를 잡았을 때 줄어든 투입 금액으로 인해 수익금 역시 만족스럽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GRND. Daily chart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추세추종 트레이딩의 승률을 높일 수 있을까? '시장의 마법사들(잭 슈웨거 저. 임규홍 역. 이레미디어)'에서 마이클 마커스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매매 횟수를 줄일 것을 제안한다.
 

비법은 매매 횟수를 줄이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가장 훌륭한 매매는 기본적 분석, 기술적 분석, 시장 분위기 이 세 가지 모두가 자신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매매죠.
첫째로 기본적 분석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암시해야만 해요. 그 불균형은 시장의 거대한 움직임으로 귀결되죠.
둘째로 차트는 기본적 분석이 암시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줘야 하죠.
셋째로 뉴스가 나올 때 시강은 움직이고 있는 방향과 적합한 심리적 상태로 반응해야 해요. 예를 들어, 상승장은 가격하락을 암시하는 뉴스가 나오면 무시해야 하고, 가격 상승을 암시하는 뉴스에는 격렬하게 반응해야 하죠.
만약 이런 조건에 자신의 매매를 한정할 수 있다면 반드시 돈을 따게 되어 있어요. 어떤 시장, 어떤 상황에서도 말이에요.
- 마이클 마커스

 

 
마이클 마커스는 기본적 분석과 가술적 분석, 그리고 뉴스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트레이더가 원하는 방향과 일치할 때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술적 분석가 입장에서 보면 두 번째, 세 번째 이유를 봐야 하는데(첫 번째 기본적 분석 방향은 차트에 이미 반영이 되었다고 본다), 본인이 갖고 있는 전략과 시장이 보내는 신호가 일치해야 한다.
 
뉴스 또한 주목할 것을 권하는데, 뉴스를 보고 매매 결정을 내리는 게 아니라 뉴스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해석이 중요하다. 상승장에서 악재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하락장에서는 호재가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상승장에서 시장이 호재에 미미하다면 상승 추세의 끝을 향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하락장에서 악재에 둔감하다면 하락 추세가 끝무렵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건이 맞을 때 진입해야 승률이 올라갈 것이다. 차트를 본인이 원하는 그림에 맞출 것이 아니라(확증편향을 경계), 본인이 노리는 그림에 차트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마크 미너비니의 말을 빌리자면, 기차가 정시에 도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자연히 매매 횟수는 줄어들게 되고 타율은 올라가게 될 것이다. 
 

잭 슈웨거: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기 위해 구체적인 사항들을 기록하셨나요?
마이클 마커스: 머릿속에 다 했죠. 나의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매매에서 나의 목표는 본전 치기였어요. 큰돈은 나의 기준을 충족하는 매매에서 얻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거든요. 나의 기준을 충족하는 매매 상황은 언제나 잇겠지만 그 수는 점점 줄어들지도 몰라요. 그러니 더 많은 참을성이 있어야겠죠.

 

 
진입 조건을 엄격하게 하다 보면 자칫 '과최적화(overfitting)'에 빠질 수 있으므로 추세추종 트레이딩을 하면서 매수를 줄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종목이나 섹터 혹은 자산을 분산하거나 시기를 분산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시기를 분산한다는 것은 특정 시기에 진입하는 횟수를 나누거나 단기, 중기, 장기로 시계열을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매매 횟수를 줄이기는 트레이딩 타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수수료나 세금 등 마찰 비용을 줄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개선된 승률은 트레이더의 자신감 상승에도 일조할 것이다. 매수 조건을 조금 더 타이트하게 따진다는 것은 꼭 추세추종 트레이딩에서만 유효한 게 아니라 가치투자에서도 역시 그렇다. 워런 버핏 옹이 말씀하였듯이 투자자들이 평생 단 20번 만의 투자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들의 투자 성공 확률은 훨씬 높아질 것이다. 
 
2025.02.03 - [트레이딩 원칙] - 트레이딩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세 가지 이유_터틀의 방식

트레이딩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세 가지 이유_터틀의 방식

주식시장에서 수익을 거두는 투자자는 10%가 채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꾸준히 수익을 내는 투자자는 더 적을 것이다. 트레이더는 어떨까? 성공하는 트레이더 역시 극소수라고 하는데, '터

lemontrea.tistory.com

 
2025.02.01 - [트레이딩 원칙] - 항상 적어두는 습관을 기르라_목숨을 걸고 투자하라

항상 적어두는 습관을 기르라_목숨을 걸고 투자하라

투자를 했다면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적어두라. 무엇을 기대하는지, 리스크는 얼마로 예상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써보라. 그러면 손실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난 40여 년간 주식투자

lemontre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