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개념

재고자산(Inventory)을 볼 때 확인할 사항

LemonTrea 2025. 4. 7. 03:26

1. 재고는 자산인가, 짐인가?

기업이 보유한 재고자산은 단순히 창고에 쌓여 있는 물건이 아니라, 향후 수익과 현금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다. 원재료든, 완제품이든, 중요한 것은 그 자산이 ‘자산다운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시장에서 실제로 팔려서 이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자산이라 부를 수 없다.

 

회사는 제품을 생산하는 순간 원재료비, 인건비, 제조경비 등 다양한 비용을 이미 지출한다. 이러한 제품이 판매되지 못하고 재고로 쌓이기만 한다면, 이는 회계상 자산으로 처리되더라도 기업의 실질 가치는 떨어진다. 특히 유행이 지난 상품, 감가가 빠른 전자제품, 혹은 공급과잉 상태에서 남은 완제품은 오히려 손실을 유발하는 위험 요소다.

 

2. Costco(COST)의 재고관리 원칙: 적게, 빠르게

이런 점에서 Costco의 재고 전략은 주목할 만하다. Costco는 SKU(제품 종류 수)를 대폭 제한해 약 4천 개 내외의 상품만을 판매하고, 회전율이 낮은 상품은 아예 취급하지 않는다. 이는 재고자산이 불필요하게 창고에 머무는 시간을 줄여주며, 전체 자산 운용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실제로 Costco의 재고자산 회전일수는 평균 30일 내외로, 업계에서 손꼽히는 수준이다.

 

COST 10K 2024

 

3. 재고가 늘어난다고 항상 좋은 건 아니다

재고는 매출과 비슷한 흐름을 따라야 한다. 매출이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재고가 그보다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한다면 이는 경영진이 수요를 과대평가했거나, 판매 전략이 실패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재고 중 완제품 비중이 원재료보다 빠르게 증가할 경우, 이는 제품이 시장에서 제때 팔리지 않고 창고에 쌓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4. 재고 회전율과 재고자산 회전일수

재고자산이 실제로 잘 팔리는지를 확인하려면 매출원가와 비교하면 된다: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기초+기말/2)

재고자산 회전일수 = 365 ÷ 회전율 

 

Costco처럼 회전일수가 짧을수록, 제품이 신속하게 팔리고 있음을 뜻하며 이는 곧 원활한 현금 흐름을 의미한다.

 

또한 업계 평균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다. 같은 산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 재고 회전이 유독 느리다면 이는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이 빠르고 재고 수준이 적정하다면, 경영 효율성과 수요 예측 능력이 뛰어남을 보여준다.

 

 

5. 기말 재고와 매출원가의 관계를 보라

결국 재고는 단순히 보관되는 물건이 아니라 ‘곧 팔릴 것’이라는 기대를 담은 자산이다. 따라서 1년간의 매출원가보다 기말 재고자산이 훨씬 작아야만, “회사에 재고가 잘 관리되고 있고, 남은 재고도 곧 판매될 것이다”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만약 재고가 매출원가보다 크거나, 증가 속도가 빠르다면 이는 수익성 하락의 신호이자, 심할 경우 분식회계 가능성도 의심해 볼 수 있다.

 

6. Costco가 보여주는 재고의 교훈

Costco는 재고의 흐름을 정교하게 통제하고, 수요에 기반해 상품을 공급하며, 불용 재고를 최소화한다. 이 같은 재고 전략은 단순한 물류 효율을 넘어서, 기업의 근본적인 수익성과 안정성에 직결된다. 결국 기업의 재고관리 능력은 제품 경쟁력 못지않게 중요한 경영 성과의 지표인 셈이다.

 

Reference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법. 박동흠 저. 부크온

 

2025.04.05 - [July]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기업의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은 기업의 혈액과도 같다. FCF는 매출 원가, 판매 관리비, 이자 및 관련 세금 같은 모든 현금 비용과 시설 투자와 운전 자본 지출을 한 뒤 남은 현금을 뜻한다.

lemontrea.tistory.com

 

2025.04.06 - [July] - 매출액이익률(Profit Margin)이 높은 기업

 

매출액이익률(Profit Margin)이 높은 기업

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은 매출액이익률(Profit Margin, PM)과 자산회전율(Asset Turnover, ATO) 두 부분으로 분해할 수 있다: 자산이익률 = 매출이익률 x 자산회전율매출액이익률 = 당기순이익 + 이자

lemontre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