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Assets)
기업이 자산을 보유하는 하는 이유는 그 자산을 사용해서 돈을 벌거나 자산을 팔아서 돈을 벌기 위함이다. 즉 자산에는 사용가치나 매각가치가 있어야 한다.
- 그런 목적이나 가치 없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은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손상을 인식해서 자산의 가치를 줄여야 한다.
- 자산은 그 질과 양을 통해 개별적 그리고 전체적으로 회사의 경제적 성격과 그 회사의 장기적인 경쟁우위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
자산 운영을 통해 창출된 이익은 우선 채권자들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데 사용되며, 남은 부분은 배당의 형태로 주주들에게 분배되거나 사내에 유보되어 자본을 증가시킨다.
- 만약 기업이 창출한 이익이 이자비용을 지급하기에도 충분하지 못할 경우라면 기업은 주주의 몫인 자본으로부터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 채권자가 기업의 부에 대한 우선청구권을 갖고,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남은 부분에 대해서만 주주가 청구권을 갖는다. 자본은 잔여지분(residueal interest)이라고 부른다.
- 자산은 자본(순자산, 자기자본)과 부채의 합.
자산의 분류
자산은 단기(일반적으로 12개원 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유동자산(Current assets)
현금 및 현금성자산(Cash and cash equivalents), 단기금융상품(Marketable securities), 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 재고자산(Inventories), 매출외채권(Vendor non-trade receivable), 기타 유동자산(Other current assets)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유형자산(Tangible assets.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PP&E),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 기타 비유동자산(Other non-currnt assets = 장기 투자자산 Long-lived asset, Fixed asset)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Balance sheet)와 자산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회계연도 말 또는 분기 말)의 기업의 자금원천(부채, 자본)과 자금운영 상황을 보여준다.
- 자산은 재무상태표의 좌측 혹은 상단에 표시한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경제자원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 일부 경제자원은 자산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고, 설사 재무상태표에 반영된다 하더라도 역사적 원가의 원칙과 보수주의 원칙에 의해 내재가치(시장가치)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
가치평가의 목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경제적 자원의 내재가치(시장가치)를 발견하는 것.
- 재무상태표에서는 저평가된 자산과 잠재적 자산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
- 저평가된 자산(Undervalued assets): 비록 재무상태표에 반영되었지만 장부금액이 시장가치보다 낮은 자산.
- 잠재적 자산(Potential assets): 재무상태표에 반영되지 않은 경제적 자원. 고의로 재무재표를 조작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재무상태표에는 저평가된 자산만 존재. 이는 보수주의 원칙이 자산을 과대평가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Reference
재무제표분석과 기업가치평가. 백복현, 장권화, 최종학 저. 박영사
2025.04.06 - [July] - 재고자산(Inventory)을 볼 때 확인할 사항
재고자산(Inventory)을 볼 때 확인할 사항
1. 재고는 자산인가, 짐인가?기업이 보유한 재고자산은 단순히 창고에 쌓여 있는 물건이 아니라, 향후 수익과 현금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다. 원재료든, 완제품이든, 중요한 것은 그 자산이
lemontrea.tistory.com
'투자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운전자본이란? (0) | 2025.04.13 |
---|---|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0) | 2025.04.11 |
재고자산(Inventory)을 볼 때 확인할 사항 (0) | 2025.04.07 |
매출액이익률(Profit Margin)이 높은 기업 (0) | 2025.04.06 |
풍부한 잉여현금흐름이 꼭 좋을까?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