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원칙

가치 평가를 할 때 명심해야 할 것

LemonTrea 2025. 3. 17. 19:44

첫째, 항상 네 가지 가치평가 요인들(위험성, 자본이익률, 경쟁력, 성장성)을 기억하라

다른 모든 것이 동일하다면 위험성이 높은 주식일수록 더 낮은 가격을 지불하고, 자본이익률이 높거나 경쟁력이 강하거나 성장 전망이 높은 기업일수록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이들 요인은 서로 복합적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오랫동안 성장할 잠재력이 있고 투입자본금이 낮으며 경쟁이 없고 근거 있는 위험성이 있는 기업은, 성장 잠재력이 비슷하지만 자본이익률이 낮고 경쟁력 전망이 불확실한 기업보다 훨씬 더 가치가 높다. 인기 있는 주가수익성장률(PEG, P/E to Growth ratio)만 맹목적으로 고려하는 투자자는 이 중요한 점을 놓치기 쉽다. 그들은 높은 자본이익률로 성장하는 것이, 낮은 자본이익률로 성장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여러 개의 도구를 사용하라

어떤 비율이나 척도를 사용했을 때 주식이 싸다면 다른 척도도 사용해 보라. 다양한 척도들이 항상 좋게 나오기는 힘들겠지만, 정말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실제로 저평가된 기업을 찾았다는 좋은 지표이다.

 

 

셋째, 인내심을 가져라

좋은 기업의 주식이 좋은 가격에 거래되는 것은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워런 버핏은 이렇게 말했다.

"투자에는 스트라이크를 불러주는 심판이 없다."

가격이 적당하다면 소유하고 싶은 관심종목들의 목록을 가지고 적당한 가격이 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움켜잡는다. 지나치게 까다로울 필요는 없지만(기회에는 비용이 따른다) 결정이 불분명할 때는 한 가지를 기억하라.

"언제든지 돈을 벌지 못하는 것이 돈을 잃는 것보다 더 낫다."

 

넷째, 강인해져라

우리가 투자해야 하는 바로 그때 세상은 우리에게 투자하지 말라고 말을 할 가능성이 높다. 좋은 기업들이 좋은 가격에 거래되는 때는 신문 헤드라인이 긍정적이고 월스트리트가 밝을 때가 아니다. 뉴스가 좋지 않고 투자자들이 과잉반응할 때 주식가격이 싸진다. 모든 사람이 매각할 때 사야 한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수익성이 좋다는 것이 장점이다.

 

경제적 해자

다섯째, 자기 자신을 믿어라

전문가의 권고에 근거한 결정보다는 자신이 어렵게 얻은 기업에 대한 지식에 근거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더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 이유는 단순하다. 만일 당신이 어떤 회사의 경제적 해자의 원천을 이해하고 그 회사의 주식이 가치보다 낮게 거래된다는 것을 안다면 자신의 성질을 죽이고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성공적인 투자자가 될 가능성이 훨씬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당신이 스스로 연구하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사람의 권고에 의존한다면, 그 충고가 좋은지 항상 의문을 가질 것이고 결국 높은 가격에 사서 낮은 가격에 팔게 될 것이다.

 

Reference

경제적 해자. 팻 도시 저. 전광수 역. 북스토리

 

훌륭한 기업의 경제적 해자를 확인했다고 해도 당장 매수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좋은 기업과 좋은 주식은 같지 않은데, 너무 비싼 가격에 산다면 좋은 기업에 투자했음에도 손실을 볼 수가 있다.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 좋은 주식임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가치 평가를 할 줄 알아야 한다. 가치 평가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산업과 기업에 따라 유용한 평가 방법이 있다.

 

 

'경제적 해자'에서는 가치 평가 도구들을 활용해서 주식의 가치가 본래 가치보다 높은지 낮은지 판단하는 판단하는 문제에 대해 '아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답을 내놓는다. 다소 허탈한 대답일 수 있는데, 그만큼 저자는 저평가된 주식을 찾으려면 상당히 많은 연습과 시행착오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다른 투자자들보다 조금 더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위의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결국 투자자 본인이 직접 가치 평가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이 없는 문제이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만의 범위를 찾아내고 그 근거를 마련한다면, 성공적인 투자에 다가갈 수 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직접 해야만 투자가 실패하더라도 그 실패에서 배울 수 있고 개선이 가능하며 노하우를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25.03.15 - [투자 원칙] - 실수로부터 배우기

 

실수로부터 배우기

최근 워런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NYSE: BRK.A, BRK.B) 주주들에게 많은 기대를 모았던 연례 주주 서한을 공개했다. 이 복합 기업의 억만장자 CEO가 보내는 서한은 수백만 명의 투자자들에게 필독 자

lemontrea.tistory.com

 

2025.03.16 - [투자 원칙] - 투자의 제1 원리